협회소개
인사말
사명이념
헌장
CI소개
법인현황
조직도
연혁
부속기관
찾아오는길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인터뷰
산카양성(Training)사업
상담지원(Counseling)사업
Membership system
교육연수(Education)사업
Communication Program
산업카운슬링이란
산업카운슬러 양성
산업카운슬러 활동분야
산업카운슬링-기업유익성
산업카운슬링
산카아카데미
산업카운슬링사업단
사내고충처리상담
커리어·전직지원
인간관계지도
IC 공공 News
자격교육과정
산업카운슬러1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1급
기업연수과정
강좌일정 및 소개
월간일정
문의신청서
Counselling 프로그램[A]
멘탈헬스 전문 프로그램[B]
커리어컨설턴트 양성(C)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인간관계지도자
인사.노무고충상담 Skill-Up
Career컨설턴트[재취업전문가]양성과정
123
전문프로그램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커리어컨설턴트
인간관계지도자
통합심리분석사
상담·심리검사
상담(프로그램) 신청문의
산업카운슬링센터
산업카운슬러 활동
산업카운슬링[EAP]도입
EAP상담서비스 시스템
MSC멘탈헬스진단[소개]
MSC 멘탈헬스자기진단
오프라인 대면상담
온라인 전화상담
온라인 게시판상담
상담자료 제출방
전국산업카운슬링상담안내
개인상담신청
자격시험등록
공지사항
민간자격등록기관
자격종목.등급.검정절차
자격심사원서
자격등록에 대하여
자격등록신청
자격등록현황
등록회원보수교육일정
산업카운슬러 헌장
산업카운슬러윤리강령
회원커뮤니티
공지알림
뉴스레터
교육소식
자유게시판
FAQ
회원제도
해외연수(일본편)
IC 공공 News
교육일정
보수교육
회원갤러리
산업카운슬링대회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소개
2025 상반기 산업카운슬러 1,2급 과정
산카아카데미 양성.활동목적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교육특징
산카아카데미 수업교재
수업과제제출방(수강회원)
산업카운슬러 활동,역할에 대하여
산업카운슬링 용어해설
전문위원·상담사·강사 지원신청
HOME
산업카운슬러
글쓴이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시 필요합니다)
이메일
(예 : mail@mail.co.kr)
교육제목
박영애님의 글입니다. ><P><SPAN id=husky_bookmark_start_1469481405453></SPAN><SPAN id=husky_bookmark_end_1469481405453></SPAN>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75550236"><SPAN style="FONT-SIZE: 12pt">구기자나무는 낙엽성 활엽관목(</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 __dttjindo__id="e146948136642143986206">闊</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 __dttjindo__id="e146948136215675045956">葉</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 __dttjindo__id="e146948136225056165685">灌</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 __dttjindo__id="e146948136287539821637">木</SPAN><SPAN style="FONT-SIZE: 12pt">: 넓은 잎의 떨기나무)으로 줄이 처져 있는 줄기는 보통 1∼1.5m 정도이고, 작은 가지가 변한 가시가 있는데, 없는 것도 있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96002721"><SPAN style="FONT-SIZE: 12pt">잎은 털이 없고 어긋나며 여러 개가 모여 나고, 톱니가 없는 난형(</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卵</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形</SPAN><SPAN style="FONT-SIZE: 12pt">) 또는 난상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는 1㎝쯤 된다. 6∼9월에 자주빛 꽃이 잎의 겨드랑이에 1∼4개가 피며, 화관(</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花</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冠</SPAN><SPAN style="FONT-SIZE: 12pt">: 꽃부리)은 통상종형(</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筒</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狀</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鐘</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形</SPAN><SPAN style="FONT-SIZE: 12pt">: 대롱처럼 속이 비고 종처럼 생김)이고 끝이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89729840"><SPAN style="FONT-SIZE: 12pt">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漿</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果</SPAN><SPAN style="FONT-SIZE: 12pt">: 살과 물이 많고 씨앗이 있는 열매)이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길이는 10㎜, 지름은 5㎜정도이다. 처음에는 달콤하나 나중에는 쓴 맛을 낸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96965612"><SPAN style="FONT-SIZE: 12pt">건조시켰을 때에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는 편평하고 콩팥 모양이며, 지름이 약 2㎜ 정도이고 황백색이다. 열매의 모양과 색깔이 예쁘고 작아서 고서에는 ‘괴좃나무여름’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청양군이 집산지이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93047349"><SPAN style="FONT-SIZE: 12pt">성분은 베타인(</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en">betaine</SPAN><SPAN style="FONT-SIZE: 12pt">)·제아잔틴(</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en">zeazanthin</SPAN><SPAN style="FONT-SIZE: 12pt">)·카로틴(</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en">carotene</SPAN><SPAN style="FONT-SIZE: 12pt">)·티아민(</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en">thiamine</SPAN><SPAN style="FONT-SIZE: 12pt">), 비타민 A·B1·B2·C 등이 함유되어 있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72742672"><SPAN style="FONT-SIZE: 12pt">동물을 실험한 결과, 베타인 성분은 생체내 대사물질의 하나인 친지질물질(</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親</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脂</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質</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物</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質</SPAN><SPAN style="FONT-SIZE: 12pt">: 지방에 가까운 물질)로 밝혀졌다. 간장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며, 혈압을 내려주는 작용도 한다. 약성(</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藥</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性</SPAN><SPAN style="FONT-SIZE: 12pt">)은 평범하고 독이 없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79694714291"><SPAN style="FONT-SIZE: 12pt">효능은 만성간염·간경변증 등에 복용하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생식기능이 허약해서 허리·무릎이 저리고 아프고, 유정(</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遺</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精</SPAN><SPAN style="FONT-SIZE: 12pt">)·대하(</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帶</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下</SPAN><SPAN style="FONT-SIZE: 12pt">)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안과질환으로 인한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있고, 노인의 백내장 초기증상에 응용한다.</SPAN></P> ><P style="-webkit-tap-highlight-color: rgba(0, 0, 0, 0)" class=txt __dttjindo__id="e146948134681277676165"><SPAN style="FONT-SIZE: 12pt">구기자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력이 왕성해지며, 다리·허리 등의 힘이 강해지고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구기차(</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枸</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杞</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茶</SPAN><SPAN style="FONT-SIZE: 12pt">) 또는 구기주(</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枸</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杞</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酒</SPAN><SPAN style="FONT-SIZE: 12pt">)로 이용한다. 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투여를 금한다.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사용되고, 대표적인 처방으로 기국지황환(</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杞</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菊</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地</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黃</SPAN><SPAN style="FONT-SIZE: 12pt" class="word_dic hj">丸</SPAN><SPAN style="FONT-SIZE: 12pt">)이 있다.</SPAN></P> ><P> </P> ><P>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