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는 근로자에게 조직을 대표하고, 조직에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이중적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조직관리자 기본 임무이다.<br><br>관리자는 조직이 갖고 있는 자원(물건, 돈, 사람)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는데, 이들 자원 중 바로 사람관리가 고충처리상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br><br>근로자의 입장에서 보면, 관리자가 조직을 대표한다고 보기 때문에 자신에게(특히 조직과 관련된) 어려움이나 문제가 있게 되면 관리자를 찾아와 고충을 호소하거나 상의하는 경우가 많다.<br><br>또한 근로자가 먼저 관리자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근로자(팀원)에게 고충문제나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해서 관리자가 먼저 이런 근로자를 만나 대화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br><br>어느 경우든, 이런 상황에서 관리자는 근로자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해결을 시도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효과적인 고충상담이나, 대화를 하지 못한다면 팀원들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허사가 되고 근로자의 불만과 좌절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노사문제를 일으키는 주 원인이 될 수도 있다.<br><br>반면 관리자가 근로자와 효과적인 고충상담이나, 대화를 한다면 근로자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아가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 <br><br>현장에서 고충처리상담의 역할을 해야 하는 관리자는 근로자에게 고충상담을 통하여 그들의 문제해결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더 나아가서 그들의 잠재능력을 개발시키려면 관리능력과 함께 고충처리상담자의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br><br>또한 관리자는 근로자의 전반적인 생활상의 문제들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이는 근로자가 생활상의 문제(가령, 가족문제)로 고민에 빠지게 되면 업무의 집중력이 감소되어 효율적인 업무를 해내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신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br><br>이에 관리자는 근로자에 대한 일관된 관심을 평소에 지녀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업무적 관계와는 다른 인간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어야 하므로 권위적이 아닌 인격적인 대우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고충처리상담자의 역할이다. <br><br>본 협회 EAP센터에서는 현장고충처리상담자의 역할의 중요성에 따라 중견 대기업의 요청에 따라 현장관리자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현장순회교육을 실시합니다.<br><br>-다 음-<br><br>1.교육내용:현장고충처리상담관리자 교육<br>2. 교육기간: 2010.9.3~2010.10.1(1개월)<br>3. 교육장소: 과천, 용인, 구미지역<br>4. 교육내용/ <br>-기업변화와 고충처리 중요성, <br>-개인고충과 조직고충, <br>-스트레스 원인, 진단, 관리, <br>-고충처리 접수에서 해결까지<br>5. 교육대상: 대기업 과장급이상~현장관리자 <br>6. 지도강사: 본 협회 임원급 <br><br> 주관/(사)한국산업카운슬러협회 EAP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