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김송호 | 작성일 | 2020-11-11 |
---|---|---|---|
제목 | 창의적 인재가 취업에 도움이 되는가? | 조회수 | 1444 |
첨부파일 | |||
요즘 기업에서 인재를 뽑는 과정을 보면 서류 심사를 통해 면접 대상자를 선정한 다음, 면접을 통해 최종 선발을 합니다. 어떻게 보면 서류 심사는 지원자를 모두 면접을 볼 수 없기 때문에 3~5배수로 압축하는 수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 제가 회사에 들어가던 1980년대만 해도 기업에서 인재를 뽑는 수단은 당연히 필기시험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필기시험을 통해 인재를 뽑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면접은 필기시험에 비하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듭니다. 한 푼이라도 절약하려고 애쓰는 기업들이 비싼 비용을 치르면서도 면접을 통해 인재를 뽑는 것은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창의적 인재를 뽑기 위한 것이죠. 필기시험으로는 산업사회에 맞는 표준화된 인재는 뽑을 수 있지만, 창의적 인재는 뽑기가 어렵습니다. 기업들은 창의적 인재를 뽑기 위해서 면접 방법도 다양화 하고 있고, 다른 방법들-예를 들면 발표를 시키거나 집단 토론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인턴십을 통해 실제로 일정 기간 같이 일해 보고 나서 최종 선발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창의적 인재가 취업에 유리할까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의 기업들이 모두 창의적 인재를 필요로 하는 공감사회 기업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한국의 주류 기업들, 예를 들면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해서 정유 회사, 철강회사 등은 모두 산업사회 기업들입니다. 물론 이런 산업사회 기업들도 새로운 공감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변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인재를 뽑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삼성전자만 해도 과거에는 가능하면 소위 말하는 SKY 급의 대학에서 대부분의 신입사원을 뽑았지만, 지금은 20% 정도로 제한하고, 나머지는 다른 대학에서 인재를 뽑는다고 합니다. 창의적인 인재는 공부를 잘 하는 인재와 꼭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문제는 한국에서는 창의적인 인재들이 실제로 기업에 들어가면 능력을 발휘하기가 힘이 든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한국 기업들은 창의적인 인재들이 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분위기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는 경영진들은 대부분 산업사회적인 마인드를 갖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창의적인 인재들은 기업도 변화시켜야 하고, 실적도 내야 하니 힘이 들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물론 창의적인 인재라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업을 찾는 것도 중요한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와 같이 무조건 큰 기업을 선호하는 것은 창의적인 인재가 취할 태도가 아니라고 볼 수 있다는 얘기죠. 사회에서 통용되는 좋은 기업이 아닌, 나에 맞는 기업을 찾는 것도 창의적인 인재가 갖추어야 할 큰 능력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한국적인 현실에서 보면 산업사회 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인 기업들은 공감사회 기업으로 가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산업사회의 표준화된 인재를 키우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창의적인 인재를 키울 수 없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 만약 창의적인 인재가 나오더라도 기업의 현 체질로서는 선호하지도 않을뿐더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게 또 다른 문제입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빌 게이츠도, 스티브 잡스도 탄생할 수 없을 거라는 자조적인 비판이 나오는 것입니다. 더욱 큰 문제는 누가 나서서 이 문제를 먼저 풀려고 하기 보다는 서로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기업은 대학을 비롯한 교육 시스템 탓을 하고, 대학은 행정 탓을 하고, 행정은 학부모 탓을 합니다. 그 틈바구니에서 애꿎은 우리의 자녀들만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기업도, 대학 교수도, 행정 당국도, 학부모들도 이제 진정 창의적 인재들이 키워질 수 있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되지 않을까요?
|
![]() |
이전글 | 책 한 권 써 보시죠 | 2020-11-11 |
![]() |
다음글 | 스티브 잡스 형 창의적 인재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