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0-11-18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134) : 산업현장의 이해(PLM) 조회수 1416
첨부파일  


 


산업현장의 이해 :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 라이프사이클 관리)

1. 의의

제품에 관한 모든 정보(제품 구성, 기술 정보, 프로젝트 관리, 재고, 매출 등)를 공유화해  전 업무 프로세스에서 제품의 수익율을 관리

2. Serve Systems : CRSEMP

가.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의 집접적인 기능 요구와 품질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제품 품질 향상과 차기 제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연구 개갈 및 제품 기획에 제공

나.SRM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장 동향에 맞춘 유연한 공급 체계를 위한 기능으로 중요한 거래처와의 협력에 필수적

다.SCM
(Supply Chain Management)
자재의 공급 체인을 관리

라.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제품의 주요 원가 요소를 관리하고 PLM 내에서 대부분의 수익을 관리하는 중요한 시스템

마.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제품 비용의 3요소인 재료비, 노무비, 경비 실적을 수집하는 원가 계산의 근간을 이루는 시스템

바.PDM
(Pdoduct Data Management)
PLM 프로세스의 핵심 시스템으로 설계 및 개발 업무 전반 관리와 제품에 대한 기술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며 제품의 수익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스마트산단 추진전략(35) : 공장 지원 시스템과 스마트 공장 위치

3. 생산혁신 프로세스 

1) 1기 : BOM/MRP(1970~1980)

BOM(부품명세서, Bill of Materials)
*E-BOM(기술 부품표, Engineering Bill of Materials)
  M-BOM(제조 부품표, Manufacturing Bill of Materials)
*MRP(자재 수급 계획,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2) 2기 : Automation/FA(Factory Automation)(1980~1990)

3) 3기 : CIM(1990~2000)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4) 4기 : SCM/ERP(2000~2010)

SCM(Supply Chain Management, 자재 공급 망 관리)
*부문 간->기능 간(기업 내)->기업 간->End-To-End->글로벌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간 업무 시스템) 
*판매+생산+구매+재고 관리
*제품의 주요 원가 요소를 관리하고 PLM7(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제품 라이프 사이클 관리)내에서 대부분 수익을 관리하는 시스템
*MRP시스템 : 수요 정보, 기준 정보, 재고 정보

5) 5기 : IoT(Internet of Things)/AI를 활용한 고도의 공장(Smart Factory, 2010~ )

(1)IoT

가. 원가 계산 : ABC 원가 계산(Activity Based Costing, 활동 기준 원가 계산) 
나. 생산 능률 향상(활동 단위 원가 측정, 시간당 이익평가, MES(ManufacturingExecution System)/IoT 활동 속도 측정)
*MES : 제품 비용의 3요소인 재료비, 노무비, 경비 실적을 수집하는 계산의 근간을 이루는 시스템
다. 가전 제품이나 자동차, 의료 기기 등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것처럼 제조업에서는 생산 설비 및 작업자 제조물 센서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시시각각 변화하는 생산 현장의 상세한 상황에 따라 공정 관리, 품질 관리 등이 가능

(2)AI(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기능이 크게 향상돼 제조 분야에서도 일정 설비 제어, 장인 기술의 수치화, 품질 불량이나 장비 고장의 미연 방지 등 지금까지 사람의 경험과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분야에서의 활용이 확산

4. 시사점 및 활용전략

PLM은 전 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개발 리드 타임을 단축 시킨다. 신제품이 발매될 때까지는 개발 비용이나 시작품의 생산 등 높은 비용의 선행 투자가 필요하고, 이것을 회수한 후에야 이익이 창출된다. 

당연히 선행 투자를 회수할 때까지의 기간(Lead Time)이 짧으면 짧을수록 이익 창출이 더 용이하다. 리드 타임을 줄이는 것이 스마트산단 추진전략의 핵심 요소이며 다음과 같은 공정설계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1)TTP(Time To Profit) 단축->수익 기간 연장
※TTP:개발 착수부터 개발 회수까지의 기간
2)TTV(Time To Volume):양산시간 단축
3)TTM(Time To Market):신제품 시장 출시기간, 시장 니즈 기반 시의적절한 신제품 출시

이 승 관 경영지도사(Ph., D.)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수석전문위원 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1급 
성남하이테크밸리 융합혁신기술지원센터 준비위원회 경영혁신분과위원장 
전) 울산테크노파크 인천테크노파크 선임 책임연구원 혁신지원실장, 울산무역구제센터장 역임(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