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김송호 | 작성일 | 2020-11-22 |
---|---|---|---|
제목 | 코로나19의 발생 원인과 특성 | 조회수 | 1469 |
첨부파일 | |||
과거에도 전염병으로 인한 피해가 엄청나게 많았는데, 최근 다시 코로나19 등 전염병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천연두, 페스트 등은 인류 역사를 바꿀 정도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고, 말라리아, 에이즈 등은 아직도 우리 곁에서 맴돌고 있다. 다행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비교적 전염병으로부터 자유로운 행복한 시기를 보앴는데, 이제 다시 전염병의 공포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의 전염병이 주로 물 등 비위생적인 환경이나, 쥐, 모기, 성 접촉 등에 의해 전파되었다면, 지금은 바이러스, 즉 인플루엔자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 일반화되고 있다. 과거의 전염병은 비위생적인 환경이 주원인이었기 때문에 상하수도 설비를 갖춘다든가, 모기와 쥐 등을 없앰으로써 퇴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코로나19 등 전염병은 경제 발전을 위한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완벽하게 퇴치하기가 쉽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 최근의 코로나19 등 전염병의 원인으로 스콧 뉴먼은 지구적 기후변화 등 11가지 요인을 제시했지만, 인수공통전염병의 창궐로 요약할 수 있다. 인수공통전염병이란 동물들의 질병이 인간에게 전이(스필오버)됨으로써 인간의 면역력으로 대처가 되지 않아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동물들이 갖고 있는 질병은 인간을 감염시키지 않는 것이 당연한데, 동물 질병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가 변이를 일으켜 인간에게 전염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전염병의 절반 이상이 과거에 없던 신종 전염병이라고 한다. 이들 전염병의 75퍼센트 이상이 야생 동물에게서 사람에게로 넘어오는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게 세계보건기구의 설명이다. 일반적으로는 어떤 종이 갖고 있는 전염병은 다른 종을 전염시킬 수 없는데, 어떤 이유로 다른 종을 감염시키는 스필오버가 일어나면서 인수공통전염병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인수공통전염병이 최근 들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공장화된 가축 사육을 하다 보니 비위생적인 사육 환경과 비좁은 공간에서의 운동부족으로 가축의 면역력이 저하된 것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면역력 저하에 의한 가축의 폐사를 막기 위해 항생제를 남용하다보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변이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 둘째는 인간의 생활 영역의 확대로 야생 동물들의 서식지를 침범하는 개발이 진행되면서 인간이 야생동물과 접촉하는 기회가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야생 동물들의 서식지를 개간할 때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먹는 경우가 생기면서 야생 동물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겨오는 경우가 늘고 있다. 또한 개발로 인해 서식지를 빼앗긴 야생 동물들이 인가 근처로 이동하면서 가축이나 인간에게 전염병을 옮기는 경우가 생겨나기도 한다.
세 번째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교통이 발달하면서 한 곳에서 전염병이 발생하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퍼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코로나19가 발생했을 때 각국 정부가 취한 가장 첫 번째 방역 대책이 바로 국경 폐쇄,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었음이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경제발전의 원동력인 대도시화, 활발한 국제 교류, 밀접한 대면 접촉 등이 코로나19 등 전염병의 확산을 부추기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코로나19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예측하고, 다른 호흡기 전염병들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19의 특성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인수공통 전염병, 중국 등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바이러스 감염이라는 코로나19의 특성은 예방과 백신 개발을 위해 이해해야만 하는 특성이다. 과거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었던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없고, 숙주에 기생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 이는 세균이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데 반해,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바로 사멸하게 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코로나19가 기침이나 말을 할 때 내뿜는 비말을 통해서는 전염이 되지만, 공기 중에서는 그리 오래 생존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훨씬 더 쉽게 변이를 하기 때문에 백신 개발이 어렵고,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다는 문제를 유발한다. 코로나19의 두 번째 특성으로 종간장벽을 뛰어넘는 인수공통전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주로 박쥐로부터 인간에게로 전염되었다고 보고 있다. 박쥐에 기생하고 있는 바이러스가 유독 인간에게 많이 전염되는 이유는 박쥐가 인간과 같은 포유류이고, 날아다닐 수 있어서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과일박쥐가 바이러스의 진원지가 되고 있는 이유는 벌목 등으로 서식지의 과일이 없어지면서 인간 주변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과일박쥐가 과일을 따먹기 위해 과수원 근처에 서식하게 되면서, 돼지 등 가축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한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고 있다. 세 번째 특성으로 중국을 든 이유는 중국의 음식 문화와 주거 문화가 인수공통전염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02년 11월 발생했던 사스가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시작됐고, 코로나19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중국이 최근 전염병의 근원지가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이유는 중국에서는 아직도 사람들이 수많은 다른 동물 종들과 뒤섞여 살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 일부 지방에서는 돼지우리와 사람이 사는 곳이 붙어 있고, 돼지우리 위층에 닭을 키우기도 한다. 따라서 닭의 배설물에 든 미생물이 돼지의 소화기관으로 들어가 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 이유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요리용으로 수많은 종류의 야생동물들을 사고파는 거대한 시장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장소에서 다양한 야생동물들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왕성하게 뒤섞이고, 돌연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
![]() |
이전글 | 통상임금 및 산정기준[근로 기준법상] | 2020-11-22 |
![]() |
다음글 | 통상 임금과 평균임금의 차이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