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김태경 작성일 2020-11-30
제목 행동치료 조회수 7168
첨부파일  

다양한 효과검증으로 입증된 방법을 통하여 내담자의 증상과 원인, 진단과 치료방법을 적용하는 행동치료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거치며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행동치료의 기본이 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손다이크(Thorndike)와 스키너(Skinner)의 도구적 또는 조작적 조건형성, 헐(Hull)의 체계적 행동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등이 있으며, 행동은 학습된 것이라는 기본 가정하에 부적응 행동도 학습이론에 따른 재학습을 통해 효율적인 행동으로 바꿀 수 있다고 간주하였다.

행동치료는 크게 세 가지 대표적인 치료방법과 이에 대한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는 상담을 이끌고 관계를 형성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기초능력, 둘째는 직면, 홍수법, 습관화 훈련, 체계적 둔감법, 이완훈련, 자기교습훈련, 대화훈련, 사회기술훈련, 자기조절 훈련과 같은 행동주의 기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셋째는 각각의 부적응 행동을 위해 개발된 특별한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행동치료가 처음으로 소개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며, 창시자가 누구인지 말하는 것도 쉽지 않다. 다만, 행동치료의 뿌리는 1950년대 영국의 아이젱크(Eysenck), 샤피로(Shapiro), 존스(Jones),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울페(Wolpe), 라자루스(Lazarus), 미국의 란슬리(Lindsley), 스키너(Skinner), 모우러(Mowrer), 달러드(Dollard), 밀러(Miller) 등의 연구에 있다. 이후 행동치료의 변화는 선형모델에서 포괄적인 체계적 관점으로, 학습모델에서 인지적 · 정서적 변혁이라 불리는 복합적인 심리학적 개념으로, 단순 인과관계에서 다중관계이론으로 진행되었다. 이 밖에도 행동치료에 내담자와의 관계, 치료과정에 내담자 참여시키기, 문제해결이나 결정능력과 같은 인지적인 요인, 생물학적 관점 등이 강조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행동치료 [behavior therapy, 行動治療]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