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0-12-12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183) : 전략적 의사결정 역량의 중요성 | 조회수 | 1920 |
첨부파일 | |||
전략적 의사결정 역량의 중요성 1. 의의 AI기반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개별 과제 해결보다는 기업의 성장이라는 관점에 초점을 맞춰 기업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며 3개년간의 중기 육성 로드맵을 만든 후 그에 따른 단계별 육성 과제를 선정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능력이 요구된다. 2. 요건 1) 성장 기본 육성 전략 기업의 입장에서 성장을 기본으로 하는 육성과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자생력을 키우는 인재를 육성한다. 성장을 기본으로 하는 육성에는 Science기반의 변화관리, 신시장 개척, 품질개선, 제품경쟁력 제고 및 원가절감 등의 육성과제를 선정 기업 특성에 맞도록 성장 단계별로 핵심 분야의 육성과제를 선택하고 지원한다. 2) 자생력 육성 전략 자생력을 키우는 육성 전략은 체계적인 인재 육성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 CEO역량강화 프로그램, 관리자 현장개선 전문가 프로그램, 논리적 문제해결 역량강화 프로그램, 창의적 의사결정 문제해결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을 도입 실시한다. 3) Wants 기반의 현장 중시 전략 기업의 애로 사항을 해결하는 데 무엇보다 '소통'이 중요하다.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전제가 되는 것은 기업의 현장의 Wants를 충분히 담아 듣고 이해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소통형 현장 중시 전략이 중요하다. 4) SBS 형 기업의 육성 4차산업혁명시대 AI시대에는 규모보다는 스피드와 기회 포착, 그리고 과감한 도전이 중요한 시대이다. 사업기회를 신속하게 전략적으로 의사결정을 통하여 기업성장을 추진하는 SBS(Small But Strong)기업을 육성이 필요하다. 3. 효과 전략적 의사결정 역량은 합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 통계적 사고를 기반으로 감성 리더십을 발휘하여 체계적 과제해결 역량을 강화하여 기업의 기술,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여 P.F.Drucker가 연구한 Going Concern(계속기업)'으로 유지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승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수석전문위원 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1급 성남하이테크밸리 융합혁신기술지원센터 경영혁신분과위원장 |
![]() |
이전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184) : 산업현장의 이해(융합혁신기술의 중요성) | 2020-12-13 |
![]() |
다음글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182) : 산업현장의 이해 (Smart Factory)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