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김용언 | 작성일 | 2021-02-13 |
---|---|---|---|
제목 | 해결 중심 단기 가족 치료(1) | 조회수 | 1524 |
첨부파일 | |||
해결 중심 단기 가족 치료 1 1. 발달배경 · 문제의 원인보다는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어 단기로 진행되는 상담 · 드세이저와 버그 등에 의해 1980년대에 발전시작 · 문제 삼지 않는 것은 건드리지 않는다, 효과가 없다면 하지 않고 대신 다른 것을 한다, 효과가 있는 것을 알면 그것을 더 많이 한다. · 내담자의 장점 및 자원을 활용, 심리적 장애의 원인을 찾아내거나 교정하려 하지 않음 · 해결지향적 질문법 사용 2. 기본가정 ①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다. 문제가 되는 상황보다 긍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훨씬 효과적으로 변화를 이끈다는 것 ② 예외상황은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 준다. 모든 문제는 문제가 적었던 예외 상황이 있는데,이를 발견하고 자주 일어나도록 격려하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조정할 자신감과 해결책 을 갖게 됨 ③ 변하지 않고 그대로 머무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변화는 항상 일어나고 있고 이 변화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설정함 ④ 작은 변화는 일어나기 쉬우며 생성적(generative)이다. 작은 변화는 큰 변화로 이끈다. ⑤ 협동 작업은 있게 마련이다. 내담자는 항상 협조하고 있다. ⑥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⑦ 의미와 체험은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난다. ⑧ 행동과 묘사는 순환적이다. 자녀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옳다’ ‘그르다’ 중 어떤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대처방법이 다르다 ⑨ 의미는 반응 속에 있다. 메시지가 전하는 의미는 관찰자에 의해 만들어지고, 내담자의 자세 자체가 절대적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님 ⑩ 내담자가 전문가다. 내담자 자신이 자기 문제에 대해 가장 많이 알고 있으며, 많은 해결 책을 시도했을 것으로 봄 ⑪ 내담자가 어떻게 목표를 설정하고 무엇을 하는가에 따라서 내담자의 작은 변화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관계된 모든 사람이 참여할 필요없이 어느 한 사람이 변하면 상호작용도 변하게 된다 ⑫ 치료팀은 치료의 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해 노력할 의사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다. 3. 기본원리 ① 병리적인 것 대신에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둔다. ②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은 물론 증상까지도 발견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③ 탈이론적, 비규범적이며, 내담자의 견해를 존중한다. ④ 간단하고 단순한 방법을 일차적으로 사용한다. ⑤ 변화는 불가피하다. ⑥ 현재에 초점을 맞추며 미래 지향적이다. ⑦ 내담자와의 협력 관계를 중요시한다. 4. 치료자-내담자 관계유형 · 치료자-내담자 관계유형: 방문형, 불평형, 고객형, 잠재적 고객형 · 관계유형 파악은 상담과정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메시지에서 어떤 과제를 부여할 것 인가에 도움이 됨 5. 치료목표 ·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 · 해결중심단기치료에서는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의 질문은 사용하나 ‘왜’의 사용은 피함, ‘왜’라는 질문은 내담자로 하여금 방어적이게 만들며 변명을 하거나 설명을 하게 만들어 상담의 초점을 흐릴 수 있다고 봄 · 목표 설정의 원칙 ①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하기 ② 작은 것을 목표로 하기. ③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행동적인 것을 목표로 하기 ④ 문제행동의 소거보다는 긍정적인 행동의 시작에 관심을 두기, 문제시되는 것을 없애는 것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바람직하거나 긍정적인 행동에 관심을 둔 목표가 더 성취하기 쉬움 ⑤ 지금-여기에서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⑥ 내담자의 생활에서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하기 ⑦ 목표 수행은 힘든 일이라고 인식하기
|
![]() |
이전글 | 해결 중심 단기 가족 치료(2) | 2021-02-13 |
![]() |
다음글 | 구조적 가족 치료(2)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