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김원모 | 작성일 | 2023-02-10 |
---|---|---|---|
제목 | 함께할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 (내건) | 조회수 | 954 |
첨부파일 | |||
제나라 환공의 정적인 공자 규를 모실 때 환공을 암살하려 했던 “관중”, “포숙아”와 일을 하면서 그를 속이기도 하였던 관중. 포숙아는 한 번도 관중를 저버리지 않았고, 환공도 관중의 말을 거스르지 않았다. 포숙아가 사람을 알이 본 것이다. ‘관중이 병이 들어 임종을 기다릴 때’ 제나라 ‘환공이 앞으로 누구와 정치를 논할지 묻자’ 관중이 이런 말 한다. 《사기 기록을 옮겨봄.》 • 환공은 말한다. ‘많은 신하 중 누구를 재상으로 할 수 있겠소?’ • 관중은 이렇게 떠본다 ‘신하를 임금만큼 아는 이가 있겠습니까?’ • 환공 ‘그럼 역이가 어떻습니까?’ (역이는 제 아들을 삶아 임금의 병에 썼다는 사람이니 환공은 그 충성을 믿고 있었을 것이다) • 관중은 ‘아들을 죽여 임금을 모신다는 것을 인정이 아닙니다. 그는 안 됩니다.’ • 환공이 ‘그럼 개방이 어떻겠소? (개방이 아바지가 돌아가신 후에도 집에 돌아가지 않고 환공을 보좌했다고 한다) • 관중은 ’어버이를 등지고 임금을 모시는 것은 인정이 아닙니다. 그는 가까이 하기 힘듭니다.‘ • 환공은 다시 ’수조는 어떻소?‘ (수조는 환공을 모시기 위해 스스로 환관이 되었다고 한다, 대단한 충성이 아닌가?) • 관중은 ’스스로 성기를 잘아 임금을 섬기는 것은 인정이 아닙니다, 친할 사람이 아닙니다.‘ 관중은 환공에게 한마디로 안 될 사람들이니 가까이 두지도 말고, 친해져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중이 죽자 환공은 이 셋에게 전권을 주었고, 역아와 수조 등은 환공을 굶겨 죽었다고 한다. 환공의 시체가 궁중에서 썩고 있을 때 그 자식들은 권력 다툼을 했다고 하니 이 사태를 예견한 관중의 지혜는 실로 대단하다. 인정이 아닌 것, 즉 사람이라면 하지 못할 것을 하면서 충성을 보이는 자는 진정 믿을 만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 ’관중이 제시하는 기준‘은 인간은 보편적인 심성이다. 보편적인 심성을 거스리는 내건은 진심이이라고 볼 수 없다. 아부와 내건은에는 분명히 차이가 있고, 내건의 조건은 “자신을 투자할 것”, “실력에 대해 확신을 할 것,” , “진심이 있을 것” 세 가지로 정해진다. “아부”에 함정이 쉽게 넘어간다. “칭찬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고래도 춤추게 한다.” 칭찬과 아부의 경계는 쉽계 구별하기 힘들다, 진실된 칭찬이나 아부는 약이 될 수 있다. |
![]() |
이전글 | [답변]반침(ㄴ자) 하나 뺏을 뿐 | 2023-02-11 |
![]() |
다음글 | [답변]함께할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 (내건)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