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이승관 작성일 2020-07-08
제목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3) 조회수 2753
첨부파일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

 

1. 의의

 

산업카운슬러(industrial Counselor)는 직무스트레스, 심리불안정, 관계갈등 속에 놓여 있는 근로자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멘탈헬스 상담, 경력개발 상담, 인간관계개발 등 전문상담을 지원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주요활동 분야로서는 근로자상담지원 프로그렘(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커리어개발상담 프로그램(CDP, Career Development Program), 인간관계개발 프로그램(Human Reforms Program), 기업, 공공기관, 단체, 노1)동조합 등에 대한 파견상담 수행 및 개발상담소 설치운영 등이 있다.

 

2. 요건

 

1)근로복지기본법 제83조(2010.12.9)에 의하면 사업주는 근로자의 업무 수행 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개인의 고충 등 업무 저해 요인의 해결을 지원하여 근로자를 보호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문가 상담 등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 지원프로그램을 시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근로자 참여 증진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의하면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는 근로자의 고충을 청취하고 일을 처리하기 위해 고충처리위원을 두어야 한다.

 

3)건강한 멘털헬스 지원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4차산업혁명시대에 근로자는 기업, 기술가치 창출을 통한 회사의 기여를 통하여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핵심 인적자원이다. 건강한 멘털헬스를 갖은 근로자를 지원하여 암묵적 지식에서 축적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카운슬링을 통한 노동생산성 제고가 중요하다.

 

3. 효과

 

산업카운슬링 기반의 근로자 현장에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기업으로서는 노사화합에 기여하고 이직율을 감소시키며, 복리후생 중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긍정적 행동, 팀워크 조직활성화, 인간관계 갈등 감와 우울증상 감소의 효과가 있으며,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와 동기부여가 제고되며 직무몰입도의 긍정적 효과는 물로 원만한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영위 및 자기개발지원으로 인적자원의 고도화 전문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승관 산업&기업경영전문가(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 산업카운슬러 47기 1급과정/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