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이승관 | 작성일 | 2020-07-14 |
---|---|---|---|
제목 | 산업카운슬러의 역할과 기대(7) : 인지, 정서, 행동심리 측면 | 조회수 | 2511 |
첨부파일 | |||
산업카운슬러의 역활과 기대(7) : 인지, 정서, 행동심리 측면 1. 의의 산업카운슬링 학자인 엘리스(Ellis)의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hy)에 의하면 인간은 합리적 즉 곧은 사고를 할 수도 있으며 비합리적, 즉 왜곡된 사고를 할 수도 있는 잠재기능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즉 인간은 본능에 의해 움직이는 생물학적 존재가 아니며, 독특하고, 고유하며, 한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이성적인 존재로 지각한다. 산업현장에서의 근로자는 인지, 정서, 행동의 위치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사고)에서 몰입되어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산업카운슬링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2. 요건 1) 인지, 정서, 행동의 위치 인지와 정서와 행동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상호작용 하면서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끼치는 존재이다. 인간의 심리적 장애는 인지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인간이 잘못된 신념체계를 자기암시나 자기반복의 과정에 의해서 조금씩 입력해 갈 때 부정확한 언어를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인간의 사고가 왜곡되며, 거꾸로 왜곡된 사고로부터 부정확한 언어가 생겨난다. 2) 비합리적 사고와 합리적 사고 비합리적 사고는 불안, 우울, 분노를 유발한다. 합리적 사고는 걱정, 슬품, 곤란함 등을 유발한다. 비합리적 사고는 논리적으로 모순이 많고, 경험적 현실과 일치하지 않으며, 삶의 목적 달성에 방해가 된다. 또한 절대적/극단적/경직적이며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 행동을 유도한다. 반면 합리적 사고는 적절한 정서와 정응적 행동에 영향을 준다. 3) A-B-C 모델의 적용 비합리적 신점과 합리적 신념을 가정하여 각 단계별로 선행사건 즉 어떤사건이 일어나면(Activity, action), 각 개인은 이 사건을 자신의 신념 체계로 지각하고, 이 사건을 자신의 가치관이나 태도에 비추어 평가하고, 그로 인해 합리적 사고(Belief), 그로 인해 정서적이거나 정서적 행동결과(Consequence)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인지치료를 하게 된다. 3. 효과 산업카운슬링의 핵심은 근로자의 고충에 대해 경청하는 자세를 견지하면서 근로자의 멘탈헬스(정신건강)에 대해 스트레스나 정신적인 피로 상황, 우울 경향 등 마음의 건강상태를 합리적 사고에 의한 인간정서의 가장 중요한 핵심적 요소인 인지, 역기능적 사고는 정서장애의 중요한 결정 요소이므로 정서적인 문제를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먼저 사고의 분석부터 시작하여 행동에 대한 과거의 영향보다는 현재에 초첨을 맞춘 정서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데 있다. 이승관 산업&기업경영전문가(경영학박사) 경영지도사(31기), 경영진단사(30기 수석)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창업지도사 기술평가사, 기술경영사 산업카운슬러 1급 과정/47기 부회장 |
![]() |
이전글 | 누군가에게 배신당한 경우 마음 전략 | 2020-07-14 |
![]() |
다음글 | 숲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 202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