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박상진 작성일 2020-07-29
제목 커리어 선택이론 (7월 25일 출석수업) 조회수 2228
첨부파일  


 

커리어(경력, 진로) 선택이론은?

 

커리어 이론은 크게 수평적 관점과 수직적 관점으로 구별해 볼 수 있다. 전자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조화시켜보는 이론이고, 후자는 인간의 발달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1) 수평적 관점

파슨스(Parsons)의 특성-요인이론(1909):

Roe의 욕구이론(1990): 직업선택은 심리적인 욕구충족, 부모와 자식의 관계

Holland의 성격유형이론(RIASEC): 직업적 흥미는 성격의 일부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

 

2) 수직적 관점

Ginzberg의 직업선택 이론: 내적요인(자신의 욕구, 능력, 가치관, 흥미)과 외적요인(가정환경, 부모, 직업조건)의 타협으로 직업선택 / 환상적-시도적-현실적 단계로 발전

Super의 커리어발달 이론: 직업선택은 직업선호, 생활장면, 자아개념으로 변화하는 연속적인 과정(자아개념의 발달과 실현)-개인의 변인과 사회적 요인간의 타협과 종합의 연속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직업의 선택한다). 자아개념은 삶의 경험과 사회적 역할에 따라 자신의 능력, 흥미, 태도를 형성해 간다. (형성-전환-실천의 단계)

진로발달의 요인: 개인차, 가능성, 직무능력, 모델의 역할, 적응의 계속성, 생애단계, 진로유형, 지도가능성, 상호작용, 직무만족)

커리어발달단계: 성장기(~14) - 탐색기(14~24) - 정착기(25~44) - 유지기(45~65) - 쇠퇴기(65~이후)

 

3) 과정이론:

- Gellat는 진로 선택이나 진로 결정의 과정에 주목

의사결정 과정이론: 사고과정에 초점. 개인이 최적의 환경을 선택함(이익, 노력, 문제해결, 인지능력에 비례)

목적정의, 적성검사, 정보수집, 대안탐색, 비교분석, 실현가능성, 가치평가, 의사결정

해렌(Harren)의 의사결정유형: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 진로결정요인

 

1)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 환경적 조건과 사건

2) 심리적 요인: 학습경험(도구적: 선행사건-행동-결과), (연상적: 감정 중립적 사건을 정서적으로 비중립적 사건으로 연결), (간접적, 대리적 학습경험: 책이나 타인의 행동에서 습득) / 과제접근기술(문제해결기술, 일하는 습관, 정보수집 능력, 감성적 반응, 인지적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