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칼럼
작성자 : | 관리자 | 작성일 | 2009-12-18 |
---|---|---|---|
제목 | 칼럼-산업카운슬링과 RWDEP기법 | 조회수 | 2948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우볼딩(Wubbolding, 1988)은 RWDEP수법으로 현실요법의 기법 습득을 보다 한층 평이하게 만들었다.
R(Realation)신뢰관계 만들기이다. 카운슬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카운슬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따뜻하고, 수용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카운슬러는 비판을 하거나, 공격하거나, 불평을 피한다. 한편, 클라이언트에게도 마찬가지 일을 하도록 기대한다. 이 양호한 관계(R)가 항상 기반이 되어, 그 위에 WDEP의 질문을 하는 것인데, 그 질문을 하는 방식, 종류, 타이밍은 요리책처럼 기기적으로 행해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W(Wants)로 클라이언트의 소망을 찾는다 바라는 게 없는 것처럼 보이는 클라이언트에게 ‘행복해지고 싶으신가요’ 라고 물으면 긍정적으로 답한다. 다음으로 ‘당신이 구하고 있는 행복은 어떤 것인가요?’라는 질문이 가능해진다. ‘카운슬러인 제가 무엇을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시죠?’로 추구하고 있는 것이 정리된다. 선택이론에 의하면 각자가 긴 시간을 들여 키워온 이미지 사진이 뇌 안의 ‘상질세계’라고 불리는 작은 장소에 들어있다. 여기에 들어있는 것은 기본적 욕구(needs)를 하나 혹은 그 이상 만족시키는 사람, 물건, 신조이다. ‘소망’(wants)라고도 불린다. 기본적 욕구는 변할 수 없지만 ‘소망’은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랑하고 사랑 받고자 하는 욕구는 변할 수 없지만, 누구와 그런 관계가 되고 싶은지 하는 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실연으로 풀이 죽어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찾아 이전보다도 행복하게 보이는 것은, 그 사람이 ‘상질 세계’에 있는 이미지 사진을 새로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카운슬러가 하는 원조의 하나는, 이 상질세계에 있는 이미지 사진을 현실적인 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할 수있다. D(Doing)으로 현재의 행동을 찾는다 과거에 문제가 있었다고 해도 모든 인간의 문제는 불만족인 현재의 인간관계에 기인하고 있다. 좋지 않았던 과거의 이야기는 될 수 있는 한 하지 않도록 한다. 증상과 괴로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가능한 피한다. 행동에는 4개의 구성요소가 있다. 즉, 행위, 사고, 감정, 생리반응 이 4가지이다. 글래써는 행동을 토탈이라고 생각하고, 선 행동이라고 부른다. 클라이언트가 직접 바꿀 수 있는 것은 행위와 사고이기 때문에, 직접 바꿀 수 없는 감정과 생리반응에는 너무 시간을 들이지 않도록 한다. . 클라이언트의 소망이 파악되었다면,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지요?’ ‘그 사람과 어제 처음으로 얼굴을 마주쳤던 건 어디에서 였어요?’ ‘인사는 누가 먼저 했나요?’ 등의 극히 구체적인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찾는 그 일례이다. E(Evaluation)으로 자기평가를 촉구한다. ‘하고 있는 건 도움이 되나요?’ ‘문제해결이 되고 있나요?’ ‘지금 이대로 얻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이 손에 들어올까요?’ ‘하고 있는 것은 중요한 사람과의 거리를 좁히는 일이 될까요?’ 등의 질문이 그 예이다. 이 자기평가는 현실요법을 사용한 카운슬링의 커다란 특징 중 하나이다. 지시도 제안도 가능한 피하면서, 지금의 행동을 계속해서 얻고 싶은 것을 얻을 수 있는가 하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한다. P(Plan)으로 계획을 세운다. 좋은 실행계획은 곧장 가능한 것, 간단한 것, 측정할 수 있는 것, 등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계획을 향한 결의는 계획을 세운 후에 하는 것도 가능하고, 계획을 세우기 전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계획을 세우기 전이라면 ‘어느 정도 진심으로 노력할 기분이 있습니까?’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잘 하고 싶다고 생각합니까?’ 등의 질문으로, 결의의 레벨을 높일 수 있다. 계획을 세운 후라면 ‘이제부터 할 일을 자신의 말로 표현해주실래요?’ ‘당신이 했다는 것을 나는 어떤 식으로 하면 알 수 있나요?’ 라는 질문을 하여, 세워진 계획의 실행 결의를 촉구할 수 있다. <칼럼리스트> |
![]() |
이전글 | 칼럼-경청과 산업카운슬링 |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