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칼럼
작성자 : | 관리자 | 작성일 | 2013-01-23 |
---|---|---|---|
제목 | 칼럼-경청의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 조회수 | 5449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산업카운슬링의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먼저 경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담자의 상황과 심리상태를 이해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 산업카운슬러는 내담자의 평소 모습이나 성격을 배경으로 내담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그 상담의 착지점이 어디인지 탐색하게 된다.
내담자는 불평을 들어줬으면 하는 것 뿐일지도 모른다. 또한 필요한 정보를 듣고 싶은 것 뿐일지도 모른다. 또는 심각한 고민과 망설임을 풀어나갈지도 모른다. 어느 것이든 상담자는 내담자의 얘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 배경에 있는 사회적 상황과 심리적 상태에 파악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상담에는 크게 3가지 방향으로 갈라진다. 즉 불평하고 끝나는 경우, 정보를 제공하고 끝나는 경우, 그리고 더 깊게 들어가는 경우이다. 불평하는 게 주가 되는 상담이라면 친절하게 들어줬다면 상담에 도움이 된 것이다. 그리고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친분관계를 한층 확실하게 만들 것이다. 그 결과 다음에도 상담관계가 유지될 것이다. 경청과 이해의 커뮤니케이션을 차근차근 진행해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교적으로 간단한 정보를 구하는 상담은 필요한 정보가 적절한 형태로 산업카운슬러에게서 내담자에게 전해지고, 그것을 내담자가 납득하고 만족하는 것이 신뢰를 두텁게 한다. 이 경우 내담자가 어떤 정보를 갖고 있는지, 그 정보가 틀리거나 잘못 생각한건 아닌지,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경청과 이해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다른 상담의 경우, 내담자가 어떤 상황 아래 그 정보를 구하고 있는지, 상담의 배경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정보를 입수해야 할지 조언하는 게 바람직 할 것이다. 그것을 위한 경청과 이해의 커뮤니케이션을 소중히 하는게 중요하다.
간단한 불평이나 정보성 상담처럼 보이는 상담도, 실은 그 배경에 복잡한 심리사회적 갈등과 고민을 짊어지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산업카운슬러는 내담자의 배경도 배려하며, 그러나 섣불리 깊이 들어가지 말고,내담자의 마음을 따라가야 할 것이다.
<칼럼리스트> |
![]() |
이전글 | 칼럼-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론과 산업카운슬링 | 2013-04-30 |
![]() |
다음글 | 칼럼-경청과 산업카운슬링 |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