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카운슬링 자료실

  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안영진(1정) 작성일 2015-04-29
제목 긍정심리학이란? 조회수 3219
첨부파일  
첨부파일  

 긍정심리학의 정의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이 행복과 성장을 지원하는 학문이다.

 

 주요 개념

ü  긍정 상태 (positive states): 인간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긍정적 심리상태 행복감, 안락감, 만족감, 사랑, 친밀감, 희망, 열정, 활기, 확신 등

ü  긍정 특질 (positive traits): 개인의 긍정적인 성격특성과 강점. 일시적인 심리상태가 아니라 개인의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긍정적인 행동양식이나 탁월한 성품과 덕목 창의성, 지혜, 끈기, 진실성, 겸손, 용기, 열정, 리더십, 낙관성, 유머, 영성 등

ü  긍정 기관 (positive institutions): 구성원의 행복과 자시실현을 지원하는 긍정적인 기관 학교, 가족, 직장, 지역사회 등

 

<긍정심리학자들이 제기하는 근본적인 물음들>

-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      행복한 삶이란 어떤 것인가?

-      형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떤 심리적 과정을 통해서 행복감을 느끼는가?

-      인간의 긍정적인 성품과 덕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지독한 고난과 난관을 극복하게 만드는 인간의 특성은 무엇인가?

-      인간은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긍정적 성품과 능력을 가장 잘 발현하는가?

 

*  행복의 정의

철학적 주장은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구분된다.

1.     쾌락주의: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유쾌한 상태

2.     자기실현적 입장: 개인의 잠재적 가능성을 충분히 발현하는 것이라는 관점이다.

성격적 강점과 덕목을 충분히 계발하고 발휘함으로써 인생의 중요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삶을 구현하는 것이 행복이라는 생각이다. 긍정심리학은 이 두 가지 철학적 입장에 근거하고 있다.

 

행복이라는 용어를 좀더 구체적인 의미를 지닌 용어를 통해 사용해보면 괘락주의적 관점에서는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주관적 안녕은 개인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경험하는 주관적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삶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 또는 삶이 질(quality of life)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주관적 안녕에는 정서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정서적 요소에는 긍정 정서와 부정정서가 있으며 인지적 요소에는 개인이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삶의 상태를 평가하는 의식적인고 인지적인 판단을 의미하며 삶의 만족도라고 지칭된다. 

 

*  긍정 심리학의 기본적 입장

ü  인간이 근본적 동기

인간은 근본적으로 행복과 성장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가정에 근거한다. 인간은 자신의 삶을 끊임없이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로 본다.

VS 프로이트: 성적인 욕구, 다른 이론가들: 자기실현, 의미 추구, 자기초월 등

 

ü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와의 관계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서로 독립적이라고 본다. 이 두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비관주의를 약화시키면 부정 정서는 감소하지만 긍정 정서가 증가하지 않는다. 긍정 정서는 낙관주의의 강화에 의해 증가된다.

 

 

*  긍정 심리학의 행복관

셀리그만이 제시한 행복한 삶 조건의 세 가지 측면

 

ü  즐거운 삶(pleasant life)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삶. 과거의 삶에 대해서는 수용과 감사를 통해서 만족감과 흡족감을 느끼고 현재의 삶에서는 지금 이순간의 체험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몰입을 통해서 유쾌함과 즐거움을 경험하며, 미래의 삶에 대해서는 도전의식과 낙관적 기대를 통해 희망감과 기대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삶이다.

 

ü  적극적인 삶(engaged life)

매일의 삶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함으로써 자신의 성격적 강점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자기 실현을 이루어가는 삶이다. 이런 강점들 중에서 개인의 독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대표 강점(signature strengths)라고 지칭하면서 진정한 행복은 이러한 대표 강점을 찾아내고 계발하여 일, 사랑, 자녀양육, 여가활동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잘 활용하는 가운데 발견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ü  의미있는 삶(meaningful life)

우리의 삶과 행위로부터 소중한 의미를 발견하고 부여할 수 있는 삶. 즐거움 속에서 열정적인 삶을 영위했으나 의미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진정한 행복감을 느끼기 어렵다. 봉사, 공헌을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느끼는 것이 포함된다.

 

*  행복 결정 요인 (Lyubomirsky et al., 2005)

무엇이 행복을 결정하는가? 기준점(50%) + 의지적 활동(40%) + 삶의 상황 (10%)

 

ü  행복 기준점 (Happiness set point)

대다수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높거나 낮은 정서 경험을 한 후에 되돌아오게 되는 행복의 평균수준 또는 기준점. 우리가 일시적으로 강렬한 기쁨이나 슬픔을 경험하게 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어떤 수준의 정서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기준점이 긍정 정서 쪽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전반적으로 활기찬 기분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부정 정서쪽으로 기울어져서 비관주의에 이끌리고 걱정을 많이 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는 것이다. Jerome Kagan (1989)은 아이들의 기질 연구를 통해서 외향성과 수줍음이 상당부분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기질(temperament)은 사건에 대한 정서 반응 성향을 뜻한다. 그의 추정에 따르면, 아이들은 약 15~20%가 수줍어하는 기질을 타고나며 약 25~30%는 사교적이고 외향적인 기질을 타고난다. 이러한 기질이 운명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성장과정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행복의 기준점이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기준점은 유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ü  삶의 상황(life circumstances)

나이, 성별, 교육수준, 사회적 계층, 수입, 가족 및 자녀, 지능 수준, 신체적 매력도와 같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여건들

 

ü  의지적 활동 (volitional activity)

개인의 동기와 의지에 의해서 선택된 자발적인 활동들을 의미한다.

 

☞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의 행복수준은 상당부분 선천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셈이다. 그러나 우리의 의지에 의해서 변화시킬 수 있는 행복의 범위도 상당히 넓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행복(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상관을 나타내는 요인들(Peterson, 2006)

낮은 상관                 중간정도의 상관                   높은 상관

나이                       결혼                             직업만족도

성별                       종교                             낙관성

교육수준                   여가활동                         자존감

사회계층                   친구의 수                        성적 활동의 빈도

수입액                     신체적 건강                      긍정 감정의 경험빈도

자녀유무                   성실성                           감사경험

지능수준                   정서적 안정성

신체적 매력도              내부적 통제소재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마틴 셀리그만 지음, 김인자 옮김 긍정심리학 물푸레

송원영, 김지영 공저.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통한 대학생의 진로 설계. 학지사.

 


     이름  :   암호 : 
내용 ▼